ARMbian 4

[왕초보] Banana Pi M5 메일 서버 호스팅 A to Z: 3단계 Dovecot IMAP 설정 및 메일 수신 확인

[왕초보] Banana Pi M5 메일 서버 호스팅 A to Z: 3단계 - Dovecot과 IMAP/POP3, 이메일 수신과 확인 지난 2부에서는 Postfix를 설정하여 이메일을 성공적으로 '발송'했습니다. 이제는 외부에서 보낸 이메일을 우리 서버가 '수신'하고, 사용자가 그 메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Dovecot 설정을 진행할 차례입니다!2부에서 우리는 `docker-mailserver`를 이용해 Postfix SMTP 서버를 구축하고 첫 이메일 발송에 성공했습니다. 기억나시죠? 이제 반쪽짜리 메일 서버를 온전하게 만들 시간입니다. 이메일을 받고, 내가 원할 때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야 진정한 나만의 메일 서버라고 할 수 있겠죠? 자, 그럼 이메일 수신과 접근을 담당하는 Dovecot의 ..

[왕초보] Banana Pi M5 메일 서버 호스팅 A to Z: 2단계 Postfix 설치 및 첫 메일 발송

[왕초보] Banana Pi M5 메일 서버 호스팅 A to Z: 2단계 - Postfix와 SMTP, 이메일 발송의 시작 1부에서 DNS 설정과 서버 기본 준비를 마쳤습니다. 이제 실제로 이메일을 주고받는 시스템의 심장,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인 Postfix를 설치하고 SMTP 프로토콜을 통해 이메일을 발송하는 첫걸음을 내디뎌 봅니다!지난 1부에서는 메일 서버 구축의 큰 그림을 그리고, 도메인 DNS 설정과 Banana Pi의 기본 환경을 준비했습니다. 기억나시죠? 못 보셨다면 1부 가이드를 먼저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제부터는 조금 더 기술적인 내용이 포함되지만,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시작해볼까요? 🚀 Postfix와 SMTP: 이메일은 어떻게 전..

[왕초보] Banana Pi M5 메일 서버 호스팅 A to Z: 1단계 준비물 및 DNS

[1부] 나만의 메일 서버 만들기: 기본 준비물과 DNS 설정, 정말 할 수 있을까? 네, 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와 함께라면 Banana Pi M5와 Docker를 사용해 여러분의 첫 메일 서버를 구축하는 여정을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개념부터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혹시 "나만의 이메일 주소를 갖고 싶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내 메일 데이터를 맡기고 싶지 않다"라는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저도 그랬습니다! 처음에는 복잡해 보이고 전문가만 할 수 있을 것 같았지만, 하나씩 따라 하다 보니 어느새 저만의 메일 서버가 떡 하니 운영되고 있더라고요. 이 시리즈를 통해 여러분도 그 성취감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 메일 서버, 왜 직접 만들어야 할까요? 🤔구글 G Suite나 ..

느린 바나나파이 M5? EMMC 부팅 + USB SSD 루트로 서버 성능 끌어올리기

느려터진 바나나파이 M5? EMMC 부팅 + USB SSD 루트로 서버 성능 확 끌어올리기 (Armbian 설치 후기)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직접 겪었던 Banana Pi M5 서버 성능 개선 삽질(?) 후기를 공유하려고 합니다.처음 Banana pi 설치시 armbian사이트에서 받은 이미지를 쉽게 플러싱해서 사용했었는데 SD 카드의 느린 속도 때문에 답답함을 느끼셨던 분들이라면 분명 도움이 되실 거예요.문제 상황: SD 카드의 한계처음에는 Banana Pi M5의 SD 카드 슬롯에 Armbian을 설치해서 이것저것 만져보며 개인 서버로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웹서버도 돌리고, Docker 컨테이너 몇 개 띄우고 하니 슬슬 버벅거리는 느낌이 들더군요. 특히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로그 파일..

반응형